2024년 5월 2일(목)

[12가지 핵심과제] ⑪ ODA

도움 주는 나라 20년… 해외 지원하는 한국의 현주소
국내 단체 해외 원조 규모 빠른 속도로 성장 중 시민 참여도 늘면서 정부보다 개인 후원 많아
사업비 규모 늘어났지만 전담 인력 여전히 부족

지난 20년간 우리나라가 ‘도움받던 나라’에서 ‘도움 주는 나라’로 탈바꿈하는 동안,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단체(CSO·Civil Society Organizaion)들은 얼마나 성장했을까.

한국 국제개발협력 NGO들의 협의체인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이하 KCOC)’는 최근 전 세계 91개국에서 지구촌 이웃을 돕고 있는 시민사회단체(이하 CSO)의 현황을 담은 ‘한국 국제개발협력 CSO 편람’을 발간했다. 이번 편람은 지난 3월 22일부터 한 달 동안 조사대상 168개 기관 중 설문에 응한 87개 단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한국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단체들의 활발한 해외원조사업 덕분에 전세계 많은 소외된 이웃들이 웃음을 되찾고 있다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제공

한국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단체들의 활발한 해외원조사업 덕분에 전세계 많은 소외된 이웃들이 웃음을 되찾고 있다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제공

◇해외사업 규모 5년 새 4배 증가

지난해 한국 개발협력 시민사회단체들의 총 사업실적은 약 1조1649억원이다. 이 중 절반가량이 국내사업에 쓰이고, 28% 정도가 해외사업(현금+물자)에 쓰였다. 해외사업 규모는 2006년 703억원에서 2009년 1425억원, 2011년에는 2835억원으로, 5년 사이 무려 4배가량 늘었다. 이는 2011년 정부의 무상원조액(약 4518억원)의 60%에 해당하는 액수로, 정부 못지않게 시민사회단체들의 국제개발협력 활동 규모가 성장했음을 알 수 있다.

해외사업비 규모가 100억원 이상인 단체는 4곳이었다. 반면 3억~5억원 규모의 단체는 20곳(25%)으로 가장 많았고, 1억~3억원 규모도 16곳(20%)으로 다수였다. 1억원 미만의 사업비로 운영되는 소규모 단체도 9곳이나 됐다.

규모가 커진 만큼 사업의 영역도 전문화·세분화되고 있다. 사업비가 가장 많이 투자된 분야는 보건·의료사업으로, 전체 규모의 26%(약 240억원)였다. 교육(21.3%)과 지역사회개발(15.4%)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애드보커시 사업은 2009년 4건이었는데 반해 지난해엔 25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세계시민교육과 같은 개발협력 인지도 제고사업(11건), 마이크로 크레딧 사업(15건) 등 사업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굿네이버스 제공
굿네이버스 제공

◇국제비정부기구(INGO), 대형 단체에 후원금 집중돼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단체들은 전체 재원의 약 38.5%(3924억원)를 개인 후원금을 통해 조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개인 후원금(전체의 34%)보다 약 1700억원 늘어난 수치다. 정기 후원자 수도 2년 전에 비해 20%가량 증가했다. 반면, 정부 지원금 규모는 1589억원으로 전체 재원의 15.7% 정도였다. 개발협력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가 늘면서, 단체들이 정부 의존도를 낮추고 재정 자립도를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단체 유형에 따라 후원금 편차가 컸다. 한국 자생단체보다 국제 NGO의 파트너단체나 한국지부단체(이하 INGO)에 후원금이 집중됐다. 특히 개인 후원금은 INGO(약 2197억원) 규모가 한국 자생단체(약 1053억원)의 두 배 이상이었다. 후원금 집중 현상은 정부 및 기업 후원금에서도 동일했다. 또한 전체 정기 후원자의 82%가 5개 대형단체에 집중됐다. 모금액 상위 7개 단체가 전체 개인 후원금의 87%를 차지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도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대형 단체의 지명도, 전문 홍보인력의 격차, 사업의 차별성 등 다양한 요인 때문”이라며 “각 단체는 차별화된 모금 전략과 다양한 홍보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국제개발협력CSO편람_그래픽_ODA_CSO재원조달방법외_2012◇가장 많은 사업비가 지원된 국가는 에티오피아

한국 개발협력 시민사회단체들이 사업을 가장 많이 진행하고 있는 지역은 아프리카로, 전체 사업비의 34.5%인 약 897억원 규모였다. 가장 많은 사업비가 지원된 국가는 에티오피아(약 133억원)로, 몽골(약 100억원), 방글라데시(약 100억원), 우간다(약 94억원), 케냐(약 87억원), 베트남(약 84억원)이 뒤를 이었다.

단체들의 해외사업 규모는 늘어나는 데 반해, 전담 인력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의 53%가 1명 이상 5명 미만의 해외사업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해외 인력이 전혀 없는 단체도 10%에 달했다. 자원봉사자들이 직원 수의 8배나 되어, 자원봉사자 의존도가 상당히 높았다.

신재은 국제개발민간협의회(KCOC) 과장은 “각 단체의 자의적 기준에 따라 사업분류를 하거나, 비슷한 사업임에도 단체별로 다른 해석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어, 사업분류에 대한 통계 기준·시스템이 필요하다”며 “단체의 특성을 반영한 해외사업을 특화하고, 타 단체와의 협력과 소통하며, 국제 커뮤니티와의 연대를 마련한다면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