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7일(토)

‘기술 ODA’의 소셜 임팩트… “혁신기술 스타트업에 주목하라”

[특별 좌담회] 글로벌 복합 위기, 혁신기술로 대응한다 <1>

내년도 정부 예산안이 2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총지출 규모는 656조6000억원으로 확정됐다. 올해 4조5000억원인 공적개발원조(ODA) 예산은 6조원을 웃도는 수준으로 통과됐다. ODA 사업은 개발도상국의 발전과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수요를 동시에 충족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코이카)는 올해로 8년째 CTS(혁신적 기술 프로그램)을 통해 창업가들의 개도국 진출을 지원하면서 개발협력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더나은미래는 지난 15일 국제개발협력 사업과 비즈니스 모델의 결합을 통해 임팩트를 창출하는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아 좌담회를 진행했다. ODA 혁신의 지속가능성과 민간 참여 확대의 가능성을 진단하는 자리다. 경기 성남 코이카 본부에서 진행된 이번 좌담회에는 전경무 코이카 기업협력실장, 김정태 엠와이소셜컴퍼니(MYSC) 대표, 오환종 티에이비 대표, 김민환 캐스트 대표 등 4명이 참석했다.

지난 15일 경기 성남 코이카 본부에서 진행된 좌담회에 참석한 (왼쪽부터)전경무 코이카 기업협력실장, 김민환 캐스트 대표, 오환종 티에이비 대표, 김정태 MYSC 대표. /성남=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지난 15일 경기 성남 코이카 본부에서 진행된 좌담회에 참석한 (왼쪽부터)전경무 코이카 기업협력실장, 김민환 캐스트 대표, 오환종 티에이비 대표, 김정태 MYSC 대표. /성남=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민간기업의 혁신성, 비즈니스를 접목한 개발협력사업 추진에 있어 글로벌 동향이 궁금하다.

전경무=미국은 기업과 기업 재단, 정부가 삼자관계를 맺는 형태로 개발협력사업을 추진한다. 개발협력사업 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기업과, 소셜미션을 가진 빌게이츠재단 등이 공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정부와 협력해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펼치는 식이다. 북유럽은 현지에서 사업을 수행할 파견 인력이 부족한 편이다 보니 펀드레이징(fundraising)을 통해 기업의 참여를 유도한다.

김정태=빈곤, 교육격차, 생물다양성 부족 등은 선진국과 개도국 구분없이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이에 민간기업들이 가진 혁신 기술을 통해 선진국뿐 아니라 베트남·필리핀·중앙아프리카 등 개도국의 사회·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일고 있다. 코이카의 CTS도 한국 스타트업·소셜벤처들의 혁신 기술을 개도국 사회문제 해결에 접목한다는 게 골자다.

김정태 MYSC 대표는 “에베레스트를 등반하기 위해선 현지에 거주하는 셰르파족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해외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선 현지 시장과 주민들의 니즈, 사회문제 등을 속속들이 이해하고 있는 코이카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남=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김정태 MYSC 대표는 “에베레스트를 등반하기 위해선 현지에 거주하는 셰르파족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해외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선 현지 시장과 주민들의 니즈, 사회문제 등을 속속들이 이해하고 있는 코이카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남=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해외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기업들이 CTS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김정태=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도 알려진 에베레스트(8848m)를 등반할 때 셰르파족과 동반한다. 셰르파족은 히말라야 산자락에 거주하며 산악인들에게 길을 안내하고 현지 날씨 상황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외부인들에게는 현지 상황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전문가들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CTS도 마찬가지다. 해외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선 현지 시장과 주민들의 니즈, 사회문제 등을 속속들이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CTS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들은 코이카 현지사무소를 통해 현지 정부, 로컬NGO들과 ‘컨택포인트’를 만들 수 있다. 현지 답사를 펼치고, 비즈니스모델(BM)을 기획하는 데 이러한 네트워크는 필수다. 투자 유치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투자자들 입장에서도 정부와 함께 ODA 사업을 펼치고 있는 스타트업들이라고 하면 이미 검증이 됐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투자 리스크가 낮다고 평가한다.

김민환=결국은 기술에 대한 활용성이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기술을 만들어도 쓸 데가 없으면 가치가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이크로 플라즈마, 즉 공기 중 산소를 활용해 살균하는 기술은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활용도가 매우 높다. 다만 개도국에서는 화학약품을 공급받거나 사용하기 어려운 지역이 많아 생필품을 살균하지 못하고 오염에 노출된 이들은 질병에 걸리기 쉽다. 그래서 이런 고도화된 기술을 어떻게 하면 개도국에서 활용할 수 있을까 고민했고, CTS 사업을 통해 캄보디아에서 관련 기술을 더욱 개발하고 상용화할 수 있었다.

오환종=CTS 시드1에 참여했는데, 우리 스타트업이 개발한 기술이 개도국이 적합한 솔루션인지 실증·검증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었다. 티에이비는 베트남 농촌지역 빈곤층 식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지에서 생산이 가능한 필터를 활용해 ‘호환형 세라믹 필터 정수기’를 개발했다. CTS 과정에서 필터 정수기 1100개를 생산해 베트남 빈곤층에게 공급할 수 있었다.

오환종 티에이비 대표는 “최근 기업들은 비즈니스모델을 하이브리드식으로 구성하는 추세”라고 했다. /성남=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오환종 티에이비 대표는 “최근 기업들은 비즈니스모델을 하이브리드식으로 구성하는 추세”라고 했다. /성남=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CTS 사업도 108건이나 진행됐다. 우수 사례를 소개한다면.

전경무=지능형 누수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스타트업 ‘위플랫’은 CTS 프로그램에 참여해 아이디어 구상부터 함께 해나갔다. 현재 위플랫은 인도네시아, 베트남, 탄자니아 등 6개 국가에서 누수관리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2023 CES 혁신상’을 받았고, 올해 시리즈A에서 30억원 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아동의 인지발달을 진단하는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한 ‘두브레인’도 올해 210억원 정도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

김정태=MYSC도 CTS를 거친 기업들에 투자했다. 대표적인 기업은 닥터노아다. 닥터노아는 저소득국가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대나무 칫솔을 만드는 스타트업인데 현재 국제기구와 협업해 사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전경무 코이카 기업협력실장은 "과거 적정기술을 활용한 ODA 사업은 지속가능한 솔루션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며 "민간의 전문성과 기술을 접목하는 비즈니스를 접목하면서 사업 운영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게 됐다"고 했다. /성남=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전경무 코이카 기업협력실장은 “과거 적정기술을 활용한 ODA 사업은 지속가능한 솔루션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며 “민간의 전문성과 기술을 접목하는 비즈니스를 접목하면서 사업 운영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게 됐다”고 했다. /성남=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CTS 이전에는 코이카가 어떤 방식으로 개발협력사업을 풀어나갔는지?

전경무=CTS 이전에는 전통적인 프로젝트 베이스 사업을 했다. 민간의 전문성과 기술을 접목하는 사업이 아닌 보편화된 적정기술을 활용한 ODA 사업이었다. 그렇다보니 지속가능한 솔루션으로 발전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전문성을 가진 기업의 혁신 기술을 ODA에 도입하는 CTS가 마련된 것이다. 기업이 운영주체가 돼 지역기반으로 사업을 하면 일자리도 창출하고, 소득증대 효과도 이끌어낼 수 있을뿐더러 사업 운영의 효과성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오환종=실제로 최근에는 비즈니스모델을 하이브리드식으로 구성하는 추세다. 해당 솔루션이 개도국의 문제만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국가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례로 티에이비의 필터 정수기는 선진국의 캠핑용품을 제작할 때 활용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키이우에 있는 국립병원에서는 살균식이 필요한 백혈병 환자들에게 티에이비의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김민환=결국 ‘유니버셜 기술’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스타트업은 영리 기업이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사업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특정 국가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게 아니라 지구촌 전반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김민환 캐스트 대표는 “CTS 프로그램은 정부와 기업이 윈윈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며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폭넓은 네트워크와 기회, 자본을 지원해줄 수 있는 정부는 기업의 최고 파트너”라고 말했다. /성남=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김민환 캐스트 대표는 “CTS 프로그램은 정부와 기업이 윈윈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며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폭넓은 네트워크와 기회, 자본을 지원해줄 수 있는 정부는 기업의 최고 파트너”라고 말했다. /성남=주민욱 C영상미디어 기자

-리스크를 감수하고 스타트업의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ODA에 적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김민환=결국은 정부와 기업이 윈윈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길이라고 생각한다. 기업은 이윤을 창출하는 영리법인인 동시에 소셜미션을 갖고 있어서 사회문제도 함께 해결해야 한다.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폭넓은 네트워크와 기회, 자본을 지원해줄 수 있는 정부는 이런 면에서 최고의 파트너라고 할 수 있다.

전경무=정부도 마찬가지다. 정부 차원의 개발협력은 현재 발생하는 복합적인 위기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기업의 참신한 아이디어와 전문성, 혁신 기술이 필요한 때다.

오환종=‘ODA는 이벤트성’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존재한다. 단발성 ODA 사업은 지원금이 없으면 지속적으로 할 수 없다. 개도국의 문제는 하나의 주체가 짧은 시간 내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NGO, 정부, 기업, 국제기구 등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정리=문일요·김수연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