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2일(목)

[더나은미래 논단] Post-2015 시대 기후변화 대응과 기업의 역할

김영목 코이카(KOICA) 이사장
김영목 코이카(KOICA) 이사장

오는 9월 UN 정상회의에서는 향후 15년간 국제사회가 달성해야 할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가 선언된다. 새천년개발목표(MDGs·Millennium Development Goals)가 올해 2015년 말 종료되고 국제사회는 경제성장, 사회적 포용, 지속가능환경을 고려한 Post-2015 시대 SDGs 달성에 전력 질주할 예정이다.

SDGs 논의 중심에는 ‘기후변화’ 이슈가 자리 잡고 있다. 본래 기후변화는 에너지·자연자원·도시 관련 어젠다의 세부 목표로 제시될 예정이었으나, SDGs의 단일 목표(SDG 13번)로 설정될 정도로 SDGs 논의에서 주요 의제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오는 12월 파리에서 개최되는 유엔기후협약 당사국총회(UNFCCC COP 21)에서는 교토의정서가 완료되는 2020년 이후 글로벌 온실가스감축을 위한 신(新)기후체제가 수립된다. 이에 변화의 조짐이 전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글로벌 기후 변화 대응에 비타협적이었던 중국은 지난달 30일 ‘2030년까지 GDP 단위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60~65% 낮추겠다’는 내용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계획서를 UN에 제출했고,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인 미국과 중국은 지난해 11월 양자 정상회담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대한 합의를 이뤘다.

하지만 ‘글로벌 탈탄소화(decarbonization)’는 그 선언만큼이나 쉽지 않다. 화석연료 사용을 제한하려면 산업과 경제 구조 전반의 전환이 필요하기에, 이제 막 산업화를 시작한 신흥 시장과 가난한 개도국의 즉각적인 대처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럼에도 현재 걸프 지역 주요 석유 수출국에서는 원자력·풍력·태양광 등 대체 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등 세계는 서서히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으로 움직이고 있다.

이에 과거 환경 및 시민단체에서만 진행되던 규제운동은 이제 기업 스스로 고용 방식, 생산, 유통 등 전반에 걸쳐 환경친화적 기업 운영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실제로 로열더치셸(Shell)과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을 포함한 유럽 6개 석유 메이저 기업들은 유엔기후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탄소 배출권 거래제 도입 협상에 직접 참여할 것과 향후 그린에너지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 의향을 발표했다. 폴 포먼 유니레버 CEO는 “기후변화와 관련해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는 비용이 무엇인가 대응을 하는 비용을 넘어서고 있다”고 언급하는 등 그린 에너지 분야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글로벌 에너지 기업 및 금융사들이 늘고 있다.

세계 7위 온실가스 배출국인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지난달 30일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 배출 전망치 대비 37% 감축하기로 발표했다. 37% 중 국내에서 감축하는 비율은 25.7%이고, 나머지 11.3%는 해외 배출권 구매와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재정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현재 국내 기업들은 주력 산업 현장에서 이미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하고 있어 추가적인 감축 여력이 매우 낮다. 향후 막대한 과징금 부담도 존재한다. 이제 기업들은 기후변화 이슈에 대한 이러한 국제사회의 변화를 인지하고, 기후변화 위기에 대비하는 동시에 이를 기업의 장기 성장 플랜에 적용하는 분명한 전략이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니즈·기술·시장 확보를 위해 기업들은 원조기관, 개발금융기관, 국제재단 등과의 다양한 파트너십을 적극 모색해 볼 수 있다. 최근 빌&멀린다게이츠재단에서는 향후 5년간 혁신적인 재생 가능 기술에 최대 20억달러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기업은 이러한 기관들과 협력해 기업이 보유한 신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녹색기후기금(GCF)을 유치하고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를 출범시킨 국가로 국제사회 내 신(新)기후체제에서의 주도적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의 참여 없이는 Post-2015 시대의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성장을 이루기란 불가능하다. 기후변화 이슈가 환경론자들만의 문제라는 과거 인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 간의 다차원적 시도가 진행될 수 있어야 한다. 코이카는 세계 각국 기대에 부응해, 기후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사업 및 제도 구축, 기술 활용을 위한 각별한 노력과 파트너십을 추진하려 한다. 신기후체제 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전지구적 목표 달성에 기업들의 적극적인 역할과 새로운 시장 개척을 고대해 본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