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2일(목)

CEO 관심사는 ‘협력사와 동반성장’… CSR 전문인력 필요해

한국 CEO는 오늘도 고민 중입니다

2014년 100대 기업 CEO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에서도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 윤리경영 부문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고려대 기업경영연구원은 설문조사에서 ‘CSR을 통해 달성하려는 목표를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 꼽아달라’고 요청했다. 선택한 순위에 따라 3점, 2점, 1점으로 가중치를 계산한 결과 ‘기업의 명성 제고'(133점)와 ‘기업 리스크 관리'(72점)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69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CSR의 목표로 ‘고객 유치 및 관리'(37점)나 ‘우수 인재 확보 및 유지'(32점)보다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69점)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CEO가 훨씬 많았다는 점이 눈길을 끌었다.

특히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을 1순위로 꼽은 CEO는 17%(10명)로, ‘기업의 리스크 관리’를 가장 중요한 목표로 선택한 CEO 숫자(10명·17%)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최근 CEO들이 협력업체와의 관계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영역으로 받아들이고 관심을 쏟고 있다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미상_그래픽_CSR_CEO설문결과_2014

◇CSR의 핵심은 지속가능성… 인권, 노동 관행은 아직 CEO 관심 밖

CSR에 대한 CEO의 인식 폭은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 선진국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CSR의 핵심을 3가지 꼽아달라는 질문(순위대로 가중치 부여)에 대해 ‘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147점) ‘윤리경영'(74점) ‘사회적 문제 해결'(59점)이 가장 높았고, ‘자선과 기부활동'(35점), ‘고용 및 세금납부'(21점)를 선택한 CEO는 많지 않았다. 예전에는 CSR을 사회공헌과 비슷한 개념으로 보고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자선이나 기부 차원으로 생각했다면, 이젠 CEO들이 동반성장, 이해 관계자 소통, 사회문제 해결까지 ‘넓은 의미의 CSR’을 보기 시작한 것이다.

반면 인권이나 노동 관행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기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 사회적 책임의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ISO 26000 분야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를 순서대로 3가지 선택하라’는 문항에서, CEO들은 소비자(98점)·공정거래(86점)·지역사회(70점)를 가장 중시한 반면 ‘인권'(19점)과 ‘노동관행'(25점)은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는 나이키·브리티시텔레콤(BT) 등 글로벌 기업들이 아동 노동·인권 이슈를 CSR의 핵심으로 보고, 이를 지키지 않는 협력업체와 거래조차 하지 않는 모습과 대조된다. 앞으로 국내 기업들도 인권, 노동 관행, 지배구조 부문까지 사회적 책임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 올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CSR의 방해 요인은 효과 검증과 전문 인력 부재

한편 최근 국내에 불기 시작한 CSV 유행 때문인지, ‘CSR이 CSV로 대체될 것’이라고 답한 CEO가 59%에 달한 점도 눈에 띄었다. 판단을 유보한 CEO는 26%, ‘대체되지 않을 것’이라 본 CEO는 14%에 불과했다. 심지어 CSR과 CSV를 동일한 개념으로 생각하는 CEO도 8%에 달했다. 이에 대해 지난 15일 열린 국회 CSR정책연구포럼이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한 ISO 26000 워킹그룹 6(Working Group 6·기업의 사회적책임 부문)에서 5년간 좌장을 맡았던 마틴 노이라이트 교수는 “기부와 사회공헌은 CSR이 아닐뿐더러, CSV는 마이클 포터가 개인적으로 만들어낸 개념이라, 전 세계적으로 CSV를 CSR의 다음 단계로 보는 곳은 없다”고 지적했다.

CEO들은 CSR 평가를 적극적으로 하면서도, 그 효과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인 경영 활동에 대한 평가와 비교해 CSR 평가를 어느 정도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동일하게 하고 있다'(12%) ‘거의 동일하게 평가하고 있다'(40%)는 CEO가 34명에 달했지만, CSR을 이행하는 데 가장 큰 방해 요인으로 ‘CSR 효과의 불확실성'(93점)을 1순위로 꼽았다.

또한 CSR 관련 임직원 교육·훈련을 ‘많이 하고 있다’는 CEO가 31명(53%)에 달했지만, 정작 ‘CSR 전문 인력 부족'(65점) 때문에 CSR을 이행하기 어렵다는 답변이 둘째 방해 요인으로 떠올랐다. 문형구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CEO가 CSR 평가 기준 중에서 수익·매출, 사회적인 임팩트와 기여도, 기업 명성 등 어떤 요소를 중시하느냐에 따라서 효과성에 대한 체감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면서 “CSR의 효과성을 높이려면 CSR 전문 인력을 기업 내부에서 키워야하고, CSR에 대한 사회의 따뜻한 인정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CEO들은 CSR에 대한 정부의 재정적·세제 혜택을 원하면서도, 자율성을 보장받길 원하고 있었다. ‘CSR 이행을 위해 정부가 지원해주길 바라는 부분을 중요한 순서로 2개 선택해달라'(순위대로 가중치 부여)는 문항에서 ‘재정 지원과 세제 혜택'(76점)과 ‘기업의 자율적 활동에 맡김'(43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CSR의 연구 및 교육'(27점) ‘CSR 우수 기업 인증'(20점) ‘파트너십 기관 정보 제공'(10점)이 뒤를 이었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