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4일(토)

매년 1만5000여명 봉사자가 찾는 곳, 한사랑마을을 가다

장애인식교육이 더해진 봉사 현장, 숨은 비결

공장을 지나니 낙원이 나타났다. 지난 6월 3일 토요일 오후. 서울에서 출발해 경기도 광주까지 2시간, 광주터미널에서 셔틀버스를 타고 20여분. 버스는 어느새 공장 지대로 들어서고 있었다. 언덕길을 오르니 푸르른 녹음 속에 우뚝 서있는 하얀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이곳은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한사랑마을.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서 운영하는 중증장애요양시설이다.

생활 지원, 재활, 사회통합지원 등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1998년 개관한 이곳엔 5세부터 30대에 이르는 중증장애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 14개 생활관에서 6~7명씩 생활을 하는데, 각 생활관마다 사회복지사 3명이 교대 근무를 하며 24시간 이들을 보살핀다. 매년 한사랑마을에 다녀가는 봉사자만 1만5000여명에 달한다. 이날 기자는 100여명의 봉사자들과 함께 현장에 투입됐다. 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그리고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총 2타임으로 이뤄졌다. 각 타임마다 30분가량 신규 봉사자 교육 진행 후 봉사가 시작된다.

봉사 전 전체 사전교육 모습 ©박창현

“이곳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은 면역력이 약해서 조금만 지저분해 도 감기 등 질병을 옮길 수 있어요. 그래서 봉사자 여러분들도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합니다.”

임지희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후원나눔부 관계자가 스크린을 가리키며 봉사 교육을 진행했다. 두 거주자의 사진을 보여주며 “몇 살처럼 보이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사진 속엔 10대 초반으로 보이는 앳된 남자아이의 얼굴이 담겨있었다. 임씨는 “장애인은 성장이 더딘 경우가 많아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대체로 어려보인다”면서 “실제 사진 속 거주자들은 20대 중반의 성인”이라고 말했다. 한사랑마을은 신규 봉사자 교육 외에도 일 년에 두 번씩 진행하는 관계자 보수교육을 통해 장애인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

봉사 전 생활관 담당 선생님이 안내하는 모습 ©박창현

교육이 끝나고 생활관으로 이동했다. 2층으로 올라가 슬리퍼를 벗고 생활관으로 향했다. 각자 배정된 생활관으로 이동한 봉사자들은 거주자들의 특성에 맞춰 봉사를 진행했다. 밥을 혼자서 먹을 수 있는지, 옆에서 부축하면 걸을 수 있는지, 휠체어를 타는 경우 턱이나 팔꿈치로 직접 운전이 가능한지 등 거주자들의 상황에 따른 교육과 봉사가 이어졌다. 기자는 ‘빌립방’에 배정됐다. 문을 열자, 노래에 맞춰 팔다리를 흔드는 아이들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개울가에 올챙이 한 마리, 꼬물꼬물 헤엄치다~”

칫솔질 해주는 장영미 봉사자 ©박창현

입을 크게 벌리고 노래를 부르는 동안 봉사자 장영미(47)씨는 이들의 입 안에 칫솔을 넣고 양치질을 해주기 시작했다. 장씨의 딸 김서진(16)양은 엄마와 함께 양치질 보조에 나섰다. 서진양이 다니는 양진중학교(서울시 광진구)는 이날 학생-보호자 동반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한사랑마을 규정상 중학생 이하 학생은 봉사시 보호자 동반이 필요하다. 아이들을 키우며 돌봄 노하우를 가진 부모의 모습을 보면서 자녀들은 자연스레 배운다. 부모와 자식 간 생기는 추억은 덤이다. 장씨는 서진양이 중학교에 입학한 2년 전부터 현재까지 매년 이곳에 방문했다고 한다. 그는 “두 번 오고나니 이젠 딸이 먼저 오자고 하더라”면서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아 떨어질까봐 걱정했는데 올 수 있게 돼 정말 다행이다”고 말했다.

1박 2일 캠프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전윤성씨와 친구들의 모습 ©박창현

 

장씨의 아들은 마을에서 진행하는 ‘힐링캠프’에 참여하기도 했다. 장씨는 “이젠 온가족이 다 함께 봉사하고 있다”며 미소를 지었다. 한사랑마을 힐링캠프는 1박 2일로 진행하는 숙박형 봉사활동이다. 일상생활 보조뿐 아니라 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과 장애체험을 진행한다. 마사지, 체육대회 등 거주인과 함께하는 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더 깊이 교감하는 기회도 가진다. 이날 빌립방에서 만난 세 명의 명지고등학교(서울시 서대문구) 학생들도 전날부터 이곳에서 머물며 봉사를 하고 있었다. 하루 먼저 이곳에서 봉사하며 노하우가 쌓인 덕분일까. 기자보다 능숙한 손놀림으로 거주인들을 대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캠프에 참여한 전윤성(18) 씨는 “학생들 사이에서 힐링캠프를 향한 열기가 뜨겁다”면서 “무엇보다 일상에 감사한 마음이 생겨 더 열심히 봉사하게 된다”고 말했다.

산책 중인 허윤민 거주자와 봉사자들의 모습 ©박창현

한사랑마을에 온 봉사자들은 청소 등 노력봉사보다는 직접 거주자들과 접촉하는 활동을 한다. 거주자들과 직접 교류하는 과정에서 장애에 대한 편견이 깨지기 때문. 그래서일까. 이곳을 다시 찾는 봉사자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봉사자들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노력도 보인다. 내년부터 한사랑마을의 학교 단위 봉사는 평일에 한정할 계획이다. 주말에 오는 가족봉사자들을 배려하고, 평일에 부족한 일손을 보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사정을 알게 된 학교들은 평일 봉사를 예약하고 있다. 임지희 초록우산어린 이재단 후원나눔부 담당자는 “한사랑마을은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인식 개선과 함께 의미있는 봉사를 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현장”이라며 “더 많은 봉사자들이 함께할 수 있도록 보완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광연 더나은미래 청년기자(청세담 7기)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