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2일(목)

[박란희의 작은 이야기] 세계 시민으로서 눈높이를 갖는 법

[박란희의 작은 이야기]

최주연디자이너_캐리커처_그래픽_박란희_편집장사진_2016지난달 30일부터 2박3일 동안 경북 경주에서 열린 ‘제66차 유엔 NGO 콘퍼런스’ 의미를 퇴색시킨 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일까, 한국 언론일까. 100여개국에서 온 4000여명이 참석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비영리 포럼이 열린 첫째날 오전, 기자회견장에는 한국 언론사 기자 100여명이 진을 쳤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스콧 칼린 공동위원장, 크리스티나 갈라크 유엔 DPI(공보부) 사무처장이 자리에 앉았다. 한국 언론의 첫 질문은 반기문 총장에게 향했다. “왜 UN 관련 일정이 적냐, 개인의 정치적 행보를 위한 방문이라는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어진 다음 질문은 이랬다. “유엔 사무총장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인가.” 이 질문 이후 3명 모두 갑자기 자리에서 일어났고, 거기서 기자회견은 끝났다.

행사장을 떠난 반 총장을 따라 기자들이 모조리 그곳을 떴다. 100명까지 이용 가능한 대형 기자실엔 오후 내내 적막감만 감돌았다. 3일 내내 현장을 취재한 매체는 ‘더나은미래’가 유일하다시피했고, 스콧 칼린 위원장을 정식 인터뷰한 매체도 우리뿐이었다. 스콧 칼린 위원장은 “왜 한국 기자들은 콘퍼런스에는 관심이 없느냐. 반기문 사무총장에만 관심이 있어 아쉬웠다”고 속마음을 털어놓았다.

이후에 들려온 소식 또한 가관이었다. 콘퍼런스 마지막날, ‘경주 액션플랜’을 채택할 때 우리 정부에서 ‘새마을운동’을 넣으려고 엄청 노력했으나, 유엔 측에 의해 거절당했다는 것이다. “특정 나라의 개념을 글로벌 액션플랜 안에 넣을 수 없다”는 게 유엔 측의 입장이었다.

많이 부끄러웠다. 세계 GDP 순위 11위이지만, 우리 사회의 주요 시스템은 아직도 초고속 성장시대에 머물러있다는 자괴감은 지나친 걸까. 100명의 기자가 똑같이 생산하는 반기문 총장의 대선관련 기사는 흥미롭지만, 우리 국민의 품격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지 못한다.’새마을운동’을 세계에 알리는 건 정권 홍보에는 도움되겠지만, 글로벌 세계시민으로서의 눈높이를 갖추는 데 큰 도움은 못 된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사고 이후 메르켈 정부가 ‘2022년 무(無)원자력발전소 시대’를 선언한 독일을 방문했을 때의 기억이 난다. 당시 메르켈 정부는 이 정책 찬반토론을 공영방송 피닉스를 통해 11시간 생방송으로 독일 전역에 중계했다. 시민들은 이메일과 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질문과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토론 내용은 다음날 독일 유력신문을 통해 다시 소개됐다.

이미 SNS에서 유통되는 수많은 장외(場外) 정보를 통해 국민들은 사안을 똑바로 판단하고 있다. 옥시 사태, 서울메트로 구의역 사고, 포스코건설 남양주 현장 사고 등에 대한 반응이 그것이다. 정부와 언론은 오히려 사안 판단이 더디고 자주 헛발질을 한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