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20일(월)

비슷한 고생 겪은 이들끼리 격려하며 “사회로 돌아가자!” 강한 의지로 ‘똘똘’

노숙인 재기 성공 사례
처음부터 일반인과 경쟁 힘들어… 단계별로 사회적응 거쳐나가야

겨울이 왔다. 노숙인들에게는 ‘추위’라는 가장 큰 적을 만나는 계절이다. 서울시 자활지원과의 통계(2010년 10월)에 따르면 서울시에만 6003명의 노숙인이 길, 쪽방 등 열악한 곳에서 이번 겨울을 나야 한다. 하지만 한때 노숙인으로 추운 겨울을 보낸 이들 중 자활에 성공한 사람들도 있다. 사회적 기업의 대표로, 직원으로 ‘따뜻한 겨울’을 보낼 이들에게 ‘노숙인’에서 ‘사회인’으로 재기에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물었다.

수원에 사는 김동남(51)씨는 한때 알코올 중독자였다. 그러나 지금은 사회적 기업 ‘짜로사랑’의 대표를 맡고 있다. ‘짜로사랑’은 친환경 공정으로 두부를 만드는 월 매출 3500만원의 알짜배기 기업이다. 김씨가 자활에 성공한 가장 큰 이유는 스스로 술을 끊기 위해 강한 의지를 발휘했다는 점이다.

“술을 너무 많이 마셔 여러 번 쓰러졌어요. 정신을 잃고 병원에 실려간 적도 많았죠.” 김씨는 자신의 과거를 담담히 이야기했다. 사우나, 쪽방 등을 전전하던 그가 2002년 마지막으로 찾아간 수원의 한 노숙인 쉼터에서는 자활사업단의 일자리를 소개해줬다. 김씨는 점차 일에 재미를 붙여가면서 ‘이 사회에서 뭔가 쓸모 있는 사람으로 여생을 보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드디어 술을 끊게 됐다. 그는 “목표가 확실하고 주어진 인생에서 행복을 찾을 줄 안다면 술을 마실 이유가 없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두바퀴 희망자전거' 사업장에서 자전거를 고치고(위) 사회적 기업 ‘짜로사랑’ 의 두부공장에서 포장작업을 하며 재기를 꿈꾸는 노숙인들(아래).
‘두바퀴 희망자전거’ 사업장에서 자전거를 고치고(위) 사회적 기업 ‘짜로사랑’ 의 두부공장에서 포장작업을 하며 재기를 꿈꾸는 노숙인들(아래).

김씨처럼 ‘내 문제에서 벗어나겠다’고 결심한 노숙인에게 필요한 다음 단계는 사회의 도움을 요청하는 일이다. 현재 서울시에만 38개의 노숙인 쉼터, 5개의 상담보호센터, 3개의 기타시설 등 총 46개의 노숙인 보호시설이 있다. 이곳에서는 노숙인을 위한 숙식을 제공하고 정부의 취약계층 일자리 사업인 희망근로와 공공근로 등 일자리를 알선해준다. 노숙인 상담보호센터 ‘다시서기’의 오영균(46) 사무국장은 “오랫동안 사회생활과 분리되어 있던 노숙인들에게 당장 일반인과 경쟁해 일을 하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고 말했다.

노숙인이 많이 일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서 일자리를 얻는 것도 사회로 복귀하는 성공적인 첫걸음이 될 수 있다. 노숙인이 주축이 되어 만들어진 사회적 기업에는 ‘참살이영농조합법인’, ‘엔젤영농조합법인’, ‘빅이슈코리아’, ‘사랑의 쌀화환’, ‘두바퀴 희망자전거’ 등이 있다. 서울시 자활지원과 최용순(57) 과장은 “일반인들과 어울리기 힘들어하는 노숙인들끼리 서로 편한 마음으로 일을 할 수 있어 근로 초기에 좋다”고 그 장점을 설명했다. ‘두바퀴 희망자전거’에서 3개월째 근무하고 있는 안정현(50)씨는 “비슷한 고생을 했던 사람들끼리 함께 일하니, 형제 같아서 일하는 재미가 더 난다”고 말했다.

개인의 굳은 의지, 정책의 도움으로 사회에 발을 들여놓은 노숙인에게 최종적으로 필요한 것은 ‘일반인들과의 어울림’이다. 노숙인의 자활을 돕는 ‘빅이슈코리아’는 이를 위해 사회로 나오고자 하는 노숙인과 그들을 돕기 위한 자원봉사자들이 한 조가 되어 일하도록 한다. 자원봉사자 정지은(26)씨는 “우리들이 조금만 더 노숙인들에게 관심을 가지면, 사회 전체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