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20일(월)

“기업가치 제고 관점에서 탈탄소 및 ESG 대응해야”

서스틴베스트, ‘재무 중대성과 지속가능성 공시’ 세미나 개최

“국내 기업들이 명실상부한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을 달성하려면 E와 S로 표상되는 지속가능성 이슈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4월 말 발표된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안을 계기로 한국 기업들이 탈탄소 및 ESG 대응을 거버넌스 관점, 전략적 관점, 재무적 관점에서 진지하게 고려하고 개선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

지난 8일, ESG 평가 및 데이터 분석기관 서스틴베스트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재무중대성과 지속가능성 공시’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재무 중대성과 지속가능성 공시 세미나 현장. /서스틴베스트

기업 관계자와 학계 등 100여명이 참석한 이번 세미나에서는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과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의 축사에 이어 백태영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이 기조연설을, 이웅희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 부위원장과 오승재 서스틴베스트 부대표가 주제발표를 맡았다. 이어진 패널토의에는 이인형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왕겸 미래에셋자산운용 이사, 황정환 삼정KPMG파트너 회계사가 참여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백태영 교수는 “우리 기업들이 기존에는 GRI 중심의 임팩트 관점에 입각한 공시를 해왔다면, ISSB와 KSSB는 투자자를 위한 정보 공시를 요구한다”면서 “기업의 기존 ESG 공시가 PR에 가까웠다면 재무중요성 공시는 IR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정부가 의무공시 기준으로 채택한 ISSB 기반 KSSB 공시기준(초안)은 공시정보의 주요 이용자가 투자자임을 이해해야 하며, 따라서 투자자들이 원하는 정보에 초점을 두고 공시를 해야 한다”고 투자자 중심의 공시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웅희 KSSB 부위원장과 오승재 서스틴베스트 부대표는 각각 주제발표를 맡아 KSSB 초안에 대한 인식 확산과 데이터 기반 재무중요성 분석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웅희 KSSB 부위원장은 “지난 4월 30일 발표된 KSSB의 지속가능성 공시 초안은 ISSB 지속가능성 기준에서 국내 상황에 맞는 선택지를 두는 방식으로 일부 완화했다”면서 “8월까지 의견을 받은 후 9월 이후 피드백 분석을 마친 후 최종본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승재 서스틴베스트 부대표는 KSSB 공시 안착을 위한 ‘국내 데이터 기반의 재무중요성 평가방법’을 주제로 발표했다. 오 부대표는 “국내 ESG 공시기준이 도입됨에 따라 ESG는 이제 당위성을 넘어 유용성을 필요로 하며 여기에 ESG 데이터 분석의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일중대성의 ISSB(KSSB)와 이중중대성의 ESRS, GRI 어떤 공시기준을 선택하든 ‘재무중요성 평가’는 공통적으로 요구된다”면서 “현재 국내 실무는 재무중요성 주제 선정에 있어 다양한 이해관계자 설문방식을 주로 활용하나 이는 공시의 합리성을 인정받기에는 충분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 대표는 그 해결방안으로 “양적 분석 즉, 국내 데이터 회귀분석 결과를 SASB 산업별 중요 이슈와 매핑한 결과를 재무중요성 주제 선정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 사례로 ‘전력 및 발전 산업’의 경우 국내 ESG 데이터를 SASB 기준과 매핑한 결과 온실가스 배출, 전 종업원 보건 및 안전 이슈가 국내 맥락에서 재무적 이슈로 도출됐다고 했다.

다음으로 진행된 패널토의에서는 이인형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왕겸 미래에셋자산운용 이사, 황정환 삼정KPMG파트너 회계사가 참여해 국내에 도입될 지속가능성 공시제도와 재무중요성 평가방법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밝혔다.

이인형 선임연구위원은 “해외는 물론 우리 기업에서도 SASB 재무 중요성 지표에 부합하는 ESG 활동 공시를 한 경우 주가 설명력이 있었다”면서 “현재 기후 이슈에 많은 관심이 집중된 측면이 있으나, 자본시장에서 재무중요성이 어떻게 기업가치에 반영되는 보상체계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도록 할 것인지, 그리고 재무적으로 중요한 것을 어떻게 판별할 것인지가 향후 주요 과제일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왕겸 이사는 “데이터 기반 재무중요성 판단 방식에 대해 현재 신뢰할 수 있는 ESG 데이터가 많지 않아 그 데이터를 기초로 한 통계분석은 신뢰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현재 투자자 입장에서는 아직까지 양적정보보다 기업 내부에서 위험을 대응하는 전략 수준을 더 중요하게 판단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에 대해 오승재 부대표는 “시기상조라는 의견에 일부 동의하지만 의무공시 이후 쌓인 데이터로 분석을 하기에는 앞으로도 많은 시일을 기다려야 할 수 있다”면서 “현재 수준에서부터 단계적으로 데이터 기반 양적 분석 기법을 적용‧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국내 ESG 공시 실무관행 발전을 위해서 바람직할 것”이라고 했다.

황정환 회계사는 “지금 기업들은 외부이해관계자 설문조사 방식으로 중요성을 평가하는데, 그 외부이해관계자는 ESG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면서 “오히려 기업 내부의 임원과 경영진 등 기업 내부사정에 밝고 ESG 지식이 있는 관계자들에게 의견을 받아서 자체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강석 더나은미래 기자 kim_ks0227@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