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8일(일)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도 받은 이 상,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2024 수상자는? 

환경재단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2024 수상자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김종성 서울대 교수, 김미옥 작가

‘2024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에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김종성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김미옥 작가가 선정됐다.

‘세상을 밝게 만드는 사람들’은 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이 한 해 동안 나눔과 헌신, 열정, 감동으로 세상을 밝게 비춰준 인물에 수여하는 상이다. 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소설가 한강도 2017년에 문화 부문을 수상한 바 있다. 2005년부터 시작된 이 상은 올해 17회를 맞았으며 현재까지 환경, 학계 전문가, 문화 부문에서 총 551명이 수상했다.

‘2024 세상을 밝게 만드는 사람들’ 수상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에서 세번째부터) 김미옥 작가, 김종성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환경재단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환경 부문’ 수상자로 선정, 1000만원 상금과 함께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정 사무처장은 10여 년 동안 국내 하천의 생태 파괴 현장을 조사해왔으며, 특히 낙동강의 녹조 문제를 집중 고발하고 해결을 촉구해왔다. 최근에는 대구 생태구간인 달성습지를 관광단지로 조성하려는 것을 막기 위해 ‘대구시민 경고문’ 등을 발표하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 사무처장은 지난 16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에서 열린 환경재단 ‘세상을 밝게 만드는 사람들’ 시상식에서 “대구에서도 시민운동과 환경운동을 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기 위해 큰 상을 받았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강을 복원하고 인간과 야생이 공존할 수 있는 사회로 가는 데 작은 기여를 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학계 전문가 부문상은 김종성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가 받았다. 김 교수는 해양생태 및 환경분야 국제저널에 300편 이상의 논문을 기재했으며, 현재 ‘블루카본사업단’ 단장을 맡아 갯벌 등 새로운 탄소중립 흡수원을 발굴하고 있다. 올해는 한국 갯벌의 탄소흡수 역할 및 기능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온실가스 감축량 확보를 위한 해양부문의 구체적 목표치 설정에 기여했다.

김 교수는 이날 “갯벌의 경제적 가치가 정말 크고 무궁무진하다는 점을 알아주는 것 같아서 학자이자 연구자로서 보람차고 긍지를 가지고 있다”며 “바다가 미래라는 말이 있는데, 환경, 지구를 위한 여러 문제를 바다에서 찾아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문화 부문 수상자인 김미옥 작가는 ‘감으로 읽고 각으로 쓴다(2024)’, ‘미오기전(2024)’, ‘귀 걸어놓은 집(2024)’ 저자다. 2024 올해의 양성평등문화지원상 개인 부문 수상자이기도 하다. 김 작가는 자신의 별명이 ‘독서 선동가’라고 밝히며 “큰 상의 무게만큼 앞으로 더욱 독서 문화 확산에 정진하라는 응원과 지지로 생각하겠다”라고 전했다.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은 창립 22주년 기념 ‘후원의 밤’ 행사에서 “비영리단체, 기업, 정부, 국회가 집단 지성을 발휘해 기후·환경 문제를 비롯해 폐기물 문제까지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재단

한편, 이날 시상식은 환경재단 창립 22주년 기념 ‘후원의 밤’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비영리단체, 기업, 정부, 국회가 집단 지성을 발휘해 기후·환경 문제를 비롯해 폐기물 문제까지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그린보트’ 출항식도 진행됐다. 그린보트는 환경을 주제로 한 3000명 규모의 크루즈 여행으로, 2005년부터 현재까지 1만 2000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환경재단은 내년 1월에 부산, 대만 기륭·타이베이, 일본 오키나와·사세보·나가사키 등을 방문하는 7박 8일의 크루즈 여정을 계획 중이다. 항해에 참여하는 주요 게스트는 유홍준 명지대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최재천 생태학자, 은희경 소설가, 정재승 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 등 각계 명사 30여 명이다. 항해 동안 각계 전문가들의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오는 24일부터 그린보트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oil_line@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